작성자 | dotong | ||
---|---|---|---|
육신표출법 | |||
육신(六神)을 표출하는 방법은 사주(四柱)의 주체가 되는 일간(日干)을 중심으로 각 주(柱)의 천간(天干) 지지(地支)와 대조를 하게 됩니다. 대조는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 오행(五行)끼리의 음양(陰陽)과 상생상극(相生相剋)의 관계로 정해지게 됩니다. 이 때 일간(日干)과 천간(天干)을 대조하여 나타낸 육신(六神)을 천성(天星)이라 하고, 지지(地支)와 대조한 것을 지성(地星)이라 합니다.
다음의 육신(六神) 표출법은 편의상 일간(日干)을 갑목(甲木)으로 보고 각 주(柱)의 천간(天干)을 대조하여 표출한 방법으로 지지(地支)의 육신 표출법도 이와 동일합니다. 즉 지지(地支)는 지지(地支) 속에 암장되어 있는 정기(正氣)와 대조하여 육신(六神)을 표출하게 됩니다. 1) 비견(比肩) 일간(日干)과 오행(五行)이 동일하고 음양(陰陽)이 같은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갑(甲)이나 인(寅)이 비견(比肩)이 된다. 2) 겁재(劫財) 일간(日干)과 오행(五行)이 동일하고 음양(陰陽)이 다른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을(乙)이나 묘(卯)가 겁재(劫財)가 된다. 3) 인수(印綬) 또는 정인(正印)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다른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계(癸)와 자(子)가 인수(印綬)가 된다. 4) 편인(偏印)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같은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임(壬)과 해(亥)가 편인(偏印)이 된다. 5)식신(食神) 일간(日干)이 생(生)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같은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병(丙)과 사(巳)가 식신(食神)이 된다. 6) 상관(傷官) 일간(日干)이 생(生)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다른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정(丁)과 (午)가 상관(傷官)이 된다. 7) 정재(正財) 일간(日干)이 극(剋)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다른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기(己)와 축(丑)과 미(未)가 정재(正財)가 된다. 8) 편재(偏財) 일간(日干)이 극(剋)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같은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무(戊)와 진(辰)과 술(戌)이 편재(偏財)가 된다. 9) 정관(正官) 일간(日干)을 극(剋)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다른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신(辛)과 유(酉)가 정관(正官)이 된다. 10) 편관(偏官) 일간(日干)을 극(剋)하는 것으로 음양(陰陽)이 같은 것. 일간(日干)이 갑목(甲木)이면 경(庚)과 신(申)이 편관(偏官)이 된다. |
|||
2018-04-1200:39 | 조회:2402 |